싸다파일

반디차조석 "거를 타선이 없다"…올해 무역흑자 작년 추월 – 한국경제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이미 회원이시면 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계정관리
마이뉴스
기자 구독 관리
마이증권
내 포트폴리오 관리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4월 수출 13.8%↑…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한국의 4월 수출이 지난해보다 13.8% 증가하면서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했다.자동차 수출은 67억9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액을 경신했고, 반도체를 비롯한 디스플레이·무선통신·컴퓨터 등 4대 정보기술(IT) 분야 품목의 수출 증가율도 모두 동시에 플러스를 이어갔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4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4월 수출액은 562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8% 늘어났다.월 수출 증가율은 작년 10월 플러스 전환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이 같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반도체 수출도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4월 반도체 수출액은 99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56.1% 증가했다.전기차 판매 증가세 둔화로 지난 2∼3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자동차 수출은 4월 67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해 역대 최대액을 경신하며 플러스로 돌아섰다.한국의 4월 수입액은 547억3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4% 늘었다.수출 증가는 작년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이로써 4월 무역수지는 15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로 11개월 연속으로 흑자가 이어지고 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멕시코 추격 속도에 ‘화들짝’
최근 10년간 한국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한 가운데 멕시코 인도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는 빠른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친화적인 정책 등을 통해 민간 경제의 활력을 끌어올린 효과로 분석된다. 이들의 추격을 뿌리치기 위해 한국은 기술 경쟁력 확보와 수출국 다변화 등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30일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한국의 최근 10년(2014~2023년)간 수출 증가율은 연평균 1.79%로 조사됐다. 최근 5년(2019~2023년)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4.7%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지만 해가 지날수록 둔화세가 완연하다. 2021년은 코로나 사태에 따른 기저 효과로 수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25.7%로 치솟았지만 2022년 6.0%로 낮아진 뒤 지난해는 -7.46%까지 추락했다. 주력 제품인 반도체 경기가 한풀 꺾이자 국가 전체 수출이 타격을 받은 것이다.한국과 달리 일부 신흥국은 빠른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멕시코는 ‘니어쇼어링’ 효과를 등에 업고 무섭게 한국을 추격하고 있다. 멕시코의 최근 10년간 연평균 수출액 증가율은 4.9%였는데 최근 5년만 놓고 보면 7.15% 늘었다.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하자 중국 자본이 멕시코에 공장을 세우는 방식으로 우회 수출을 꾀했고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이점을 누리기 위해 멕시코에 투자를 늘린 영향이다. 이 때문에 멕시코의 전 세계 수출 순위는 2013년 15위에서 코로나 직전인 2019년 11위로 올랐다. 지난해는 9위까지 올라 8위 한국을 바짝 쫓고 있다.아시아 국가들의 추격도 매섭다. 인도는 최근 10년간 수출이 연평균 4.19% 늘었다. 최근 5년간 증가율은 9.04%로 두 자릿수에 육박한다. 인도는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가 한국보다 두 배 이상 큰 국가인데도 연평균 7%대 고성장을 하고 있다. IMF는 인도의 경제 규모가 2025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싱가포르도 최근 10년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이 3.5%로 한국의 두 배 수준이다. 최근 5년간 수출 증가율도 9.39%에 달한다.인도와 싱가포르는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앞세워 수출과 내수 산업을 끌어올렸다는 공통점이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014년 집권 직후부터 ‘메이크 인 인디아’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제조업을 집중 육성했다. 2019년부터는 자국 기업의 법인세를 기존 30%에서 22%로, 신규 기업의 법인세는 15%까지 낮추는 등 친기업 정책을 펴고 있다. 싱가포르는 전 세계 기업과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2008년부터 상속·증여세를 폐지하는 파격적인 세제 정책을 시행했다. 양도세와 배당세를 물리지 않고 법인세, 소득세 역시 상대적으로 낮게 과세하고 있다.이런 기업 친화적인 정책 효과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패권 경쟁과 맞물리면서 극대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하는 제조업 생산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과거 아시아 금융 중심지이던 홍콩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전문가들은 한국 정부도 민간 경제의 활력을 끌어올리는 정책을 우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은 반도체뿐 아니라 여러 미래 첨단산업에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수출 지역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4대 시장 비중 66%…수출국 편중 더 심화
한국이 세계 5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수출 시장 다변화가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미국, 중국과 같은 주요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춰야 지정학적 위기 등 대외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다.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수출에서 중국 미국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유럽연합(EU) 등 4대 교역 대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 59.2%에서 지난해 66.1%로 20년간 6.9%포인트 높아졌다. 2003년은 한국 수출 규모가 1943억달러로 지난해(6322억달러)의 30% 수준이던 시기다. 당시에도 4대 교역국에 집중된 수출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지만 주요국 수출 비중은 오히려 높아졌다.한국의 일본 수출액은 2022년 306억달러에서 2023년 290억달러로 16억달러 줄었다. 지난해 중남미 지역에 대한 수출은 246억달러로 5년 전보다 51억달러 늘었다. 하지만 1년 전에 비해서는 20억달러 줄었다. 중동 지역 수출은 조금씩 늘고 있지만 아직 200억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인도 수출 비중은 전체 의 2.8%에 불과하다.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알리, 싸다고 좋아했는데”…한국 이용자 수 줄어든 까닭
정재호 주중대사 ‘갑질 의혹’에…외교부 “징계 사안 아냐”
이스라엘군 라파 진입…도로·검문소 장악 ‘시가전 개시’
IBM CEO “과도한 규제는 규제가 없는 것보다 나빠”
살아나는 美 금리 인하 기대…원·달러 환율 3거래일 연속 하락
“삼성서 처음 있는 일”…에이스 400명 투입 ‘역대급 승부수’
반도체가 이끈 증시…코스피, 2% 오르며 2700선 탈환
“9조달러 비용 청구서”…중산층 어깨 짓누르는 친환경 목표
청약 몰리고 거래도 늘고…’몸값’ 높아진 소형 아파트
점포 줄이는 4대銀, PB센터는 늘렸다
팰리세이드·쏘렌토 더 세진다…현대차의 ‘강력한 한 방’
‘매출 0원’ 스타트업에도 수천억 투자…무슨 사업이길래
尹정부 첫 민정수석 김주현 “가감 없이 민심 청취하겠다”
출소 뒤 ‘폰지사기’ 또…제 버릇 못고친 ‘기획부동산 원조’
IMF 총재 “美 금리 인하 올해 안에 있을 것”
“한국 잡아라”…’1박 70만원’ 전세계 특급호텔 격전지 됐다
피아니스트 박재홍 “좋은 연주자는 ‘작곡가의 유언장’을 제대로 전달하는 사람”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Copyright 1999-2024. 한경닷컴 All rights reserved.

source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