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다파일

호텔·화장품·화학株 추락…'차이나 리스크' 언제까지 – 한국경제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 윈난성 산사태, 사망자 25명으로…신장엔 규모 7.1 강진
중국 남서부 윈난성에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한 것에 이어 서북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는 규모 7.1 강진이 발생했다.23일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전날 산사태가 발생한 윈난성 전슝현 탕팡진 량수이촌에 구조대 1000여명과 장비 150여대를 투입해 실종자 수색 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날 오후 4시까지 파악된 사망자 수는 25명, 실종자는 19명이다.당국은 당초 산사태로 18가구 47명이 매몰된 것으로 파악했지만, 주민 3명은 사고 당시 외출을 해 연락이 닿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오후 구조대와 연락이 닿은 것으로 전해졌다.다만 급경사 지역에 눈까지 내리면서 구조 작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당국은 가파른 절벽 꼭대기 지역이 붕괴했고, 붕괴물이 주민들이 살던 산의 중턱에 떨어진 뒤 강한 충격을 일으키면서 급경사면을 따라 산비탈 표면의 흙을 파내며 아래로 쓸고 내려간 것으로 파악됐다. 산기슭에 이르러선 붕괴물 부피가 7만㎥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대한의 노력으로 사상자를 줄여야 한다"고 지시했고, 중국 당국은 장궈칭 부총리가 인솔하는 대응팀을 현장에 파견했다.이와 함께 이날 새벽에는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북서부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곳은 키르기스스탄과 국경을 맞댄 곳으로, 카자흐스탄은 물론 우즈베키스탄과 인도에서도 진동이 감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인명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지진의 규모가 워낙 큰 만큼 "재앙이 광범위하게 퍼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중국에서는 지난달 서북부 간쑤성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48명이 숨지고 수천 명의 이재민이 나왔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속보] 한국, 유엔 인권검증대 선 中에 ‘탈북민 인권’ 첫 권고
한국 정부가 부당한 인권 처우를 겪는 탈북민을 보호하고 국제 규정을 준수할 것을 중국 측에 권고했다.윤성덕 주제네바 한국대표부 대사는 23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사무소 E빌딩에서 열린 중국의 '보편적 인권 정례검토'(UPR) 절차에서 중국에 대해 "탈북민을 포함한 해외 출신 이탈자들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길 권고한다"고 말했다.중국을 대상으로 한 UPR에서 우리나라 정부가 탈북민 인권 문제를 직접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UPR은 유엔 회원국 193개국이 돌아가면서 정기적으로 자국 인권 상황과 권고 이행 여부 등을 회원국들로부터 심의받는 제도다. 한국에 대한 UPR은 지난해였고, 이번에는 중국이 유엔 회원국들로부터 자국 인권 상황을 점검받았다.앞서 2018년 진행된 중국 UPR에선 탈북민 관련 질의를 하지 않았고, 2013년에는 현장 발언을 통해 강제송환금지 원칙 준수 등 난민 보호 문제를 언급했지만 북한을 명시적으로 거론하진 않았다.중국은 자국 내 탈북민 인권 문제에 제기될 때마다 북한 이주민이 불법으로 입국했고, 대부분 돈을 벌려고 온 것일 뿐이며 인권침해 행위와의 관련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첸 슈 주제네바 중국대표부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은 이날 자국 인권 보호 수준이 크게 발전했고 국제적 인권교류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고 자평했다.북한은 이날 중국의 인권 상황을 칭찬했다. 방광혁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는 "우리는 중국의 국민이 선택한 정치 체제와 경제발전 경로를 중국 정부가 지키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중국은 현대화를 통해 평등한 인권의 향유와 번영을 이뤘다"고 말했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샤오미, 애플 제치고 中 스마트폰 1위
중국 가전업체 샤오미가 작년 12월 애플을 제치고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 1위에 올랐다.23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은 통신시장 조사업체 BCI컨설팅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샤오미가 중국에서 가장 많은 348만900대(점유율 16.5%)의 스마트폰을 판매했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판매량이 336만2100대에 그치며 점유율 15.9%로 2위로 밀려났다.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애국주의 소비 열풍’이 불면서 샤오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5.8% 증가했다. 샤오미의 최신 스마트폰 ‘14시리즈’ 판매도 호조를 보였다. 작년 10월 출시된 14시리즈는 중국 소비자의 호평 속에 출시 10여 일 만에 144만7400대가 팔렸다.애플은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5’ 시리즈 인기가 식으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7% 감소했다. 애플은 지난 15일 이례적으로 중국 내 아이폰15 시리즈 가격을 기종에 따라 6∼8% 내렸다.중국 메이커 룽야오(아너)도 지난달 335만2100대를 판매하며 애플을 바짝 추격했다. 룽야오는 2020년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서 분사한 자매회사다.화웨이도 애플을 위협하고 있다. 이 회사는 미국 견제를 뚫고 작년 8월 7나노 기술로 제작된 ‘기린 9000S’ 프로세서를 장착한 ‘메이트 60 프로’를 출시했다. 화웨이는 작년 12월 294만1100대를 판매, 전년 동월 대비 59.2% 급증하며 중국 내 판매 순위 6위에 올랐다.중국정보통신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중국 휴대폰 출하량은 2억8900만 대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중국 토종 브랜드 출하량은 2억3100만 대로 전년 동기보다 1.1% 늘며 79.9% 점유율을 기록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美, 4분기 3.3% ‘깜짝 성장’…’조기 금리인하’ 물건너가나
“국회의원 배현진 맞습니까” 확인 후 돌로 머리 내리쳤다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춘천·아산까지 GTX 생활권
‘중대재해법 유예’ 끝내 무산…83만 영세 中企 줄도산 공포
“빚내서 빚 갚아라”…심상찮은 中 ‘초유의 사태’
작년 성장률 1.4% … 내수부진에 발목 잡혔다
이번엔 700억…미래에셋증권, 3개월 만에 또 자사주 매입
‘생성 AI의 힘’ MS, 시총 3조 달러 돌파…애플 이어 역대 두 번째
‘반세권’ 평택 브레인시티, 1980가구 나온다
보험사 ‘위로금 30만원’ 제안에…”지저분하게 무슨 짓이냐” 분노
SK하이닉스 “HBM 생산 2배로”…올 영업익 10조 넘본다
세종텔레콤, 경매 포기…제4통신사 벌써 ‘삐걱’
“국회의원 배현진 맞습니까” 확인 후 돌로 머리 내리쳤다
회생 끝났는데 ‘뒷북 과세’…모호한 法에 기업들 ‘분통’
“빚내서 빚 갚아라” … 심상찮은 中 ‘초유의 사태’
‘쇼핑의 틀’ 깬 스타필드 수원…MZ 신세계 펼쳐진다
“날씨 미쳤네” 강추위 몰려오자…다이소는 벌써 ‘품절’ 사태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Copyright 1999-2024. 한경닷컴 All rights reserved.

source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