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다파일

"아파요" 비명에도 억지로 다리 찢게 한 中 무용학원 – 한국경제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이미 회원이시면 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계정관리
마이뉴스
기자 구독 관리
마이증권
내 포트폴리오 관리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불법 작심하고 온 학생들 못 막아요”…지방대 ‘충격 상황’
“학교에서 아무리 관리한다고 해도 ‘불법 취업’을 작심하고 들어온 외국 학생을 막기는 어렵습니다. 이미 일용직업계에 베트남·우즈베키스탄 네트워크가 형성돼 있어 불법 취업이 쉽습니다.”(한 지방사립대 어학당 관계자)국내 학생들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외국인 학생을 적극 받아들이고 있는 지방사립대 어학당이 불법 취업 경로가 되고 있다. 한국어연수 과정으로 손쉽게 입국한 뒤 수업을 방치한 채 돈벌이를 위한 아르바이트에 뛰어드는 사례가 만연하다는 지적이 나온다.지방대 어학당 등록 후 불법취업30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국내에 한국어연수(D-4-1) 비자로 들어온 학생의 국적은 베트남이 4만7484명(65.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6654명·9.18%), 몽골(4864명·6.71%), 우즈베키스탄(1976명·2.72%) 순이었다. 반면 프랑스(0.35%), 미국(0.33%) 등 서구권 학생의 어학연수 비자 비중은 크게 낮았다.동남·중앙아시아 출신 학생은 주로 지방대 부속 어학당으로 향한다. 강릉원주대는 101명 중 71명(70.3%), 충남 건양대 한국어교육센터는 70~80%가 베트남 학생이다.서울에 있는 대학 어학당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경희대 국제교류원은 중국 학생이 약 60%, 일본 학생이 20~30%, 영미권 학생이 약 10%다. 연세대 한국어학당은 아메리카대륙 출신이 24.8%로 국내 어학연수생 대비 비중(0.95%)보다 훨씬 높다.불법취업 만연한 ‘지방 어학당’표면적인 이유로는 서울과 지방의 생활비 차이가 꼽힌다.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영미권 학생들이 서울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 대학가 현장에서는 ‘어학연수가 불법 취업의 수단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법무부에 따르면 국내 베트남인 26만6752명 가운데 7만9831명(29.9%)이 불법 체류자로 분류된다. 우즈베키스탄은 8만7931명 중 8839명(10.1%)이 불법 체류 상태다. 한 지방사립대 어학당 관계자는 “지방 어학당들은 어학연수생이 학교 밖에서 일으킨 사건·사고를 해결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을 쓰고 있다”며 “이미 해당 국가 출신 성인들이 일용직업계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점도 학생의 불법 취업이 쉬운 이유”라고 전했다.학령인구 감소로 만성적인 재정 위기에 처한 지방대 입장에서는 ‘외국인 어학생 모시기’가 유일한 자구책이나 다름없다. 불법 취업을 우려하면서도 학생 확보에 나설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한 지방국립대 관계자는 “국내 학생 부족으로 등록금에 구멍이 난 상태에서 어학당 학생은 중요한 수입 수단”이라며 “영세 사립대는 현지 설명회를 열어 학생을 유치해야 하는 처지”라고 말했다.지방대 어학당의 ‘불법 취업 루트화’를 차단하기 위해 법무부는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불법 체류율 8~12% 미만, 어학연수생 수료율 50% 이상 등의 조건을 충족한 학교에 비자 심사 혜택을 주고 정원 제한을 풀어주는 방식이다.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외국인 입국자 중 어학연수가 목적인 학생에 대한 출입국관리국의 관리·감독이 까다롭지 않아 국내 불법 취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살림이 어렵더라도 교육기관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더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6년 넘게 “애플 투자 중립” 외친 애널리스트의 변심
5월 2일 실적 발표를 앞둔 애플에 대해 6년 넘게 ‘중립’ 의견을 고수해온 미국 월가의 한 애널리스트가 투자 등급을 상향 조정하자 애플 주가가 2% 넘게 올랐다.CNBC방송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29일(현지시간) 애플에 대한 투자 의견을 기존 ‘시장수익률(market perform)’에서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조정했다. 시장수익률 의견은 주가가 시장 평균 수익률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이란 전망에 기반한 것으로, 중립을 뜻하는 ‘보유(hold)’에 속한다. 시장수익률 상회는 해당 주식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란 관측에 기반해 ‘매수(buy)’를 권한다는 의미다.번스타인이 애플에 대한 투자 의견을 올려 잡은 건 2018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이날 공개한 ‘공포에 사라’는 제목의 메모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매수 후 보유(buy and hold)’ 전략을 구사하기로 잘 알려진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도 애플에 대해 비교적 쌀 때 사고 비쌀 때 신중하게 정리해 왔다”며 “우리도 버핏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적었다.올해 들어 이날까지 S&P500지수가 6.9% 오르는 동안 애플 주가는 12%가량 하락했다.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아이폰15 판매 부진과 중국 매출 둔화 등이 애플 주가를 과도하게 끌어내렸다고 판단했다. 또한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16이 애플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도 내놨다.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중국이 또…아이브 ‘한국풍’ 뮤비에 “우리 문화 왜 훔쳐”
그룹 아이브(IVE)가 신곡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풍 뮤직비디오를 보고 '우리 문화를 훔쳤다'며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아이브가 지난 29일 오후 6시 공개한 두 번째 EP '아이브 스위치'의 타이틀곡 '해야' 뮤직비디오는 한국적인 콘셉트를 전반에 깔아 시선을 끌었다.뮤직비디오에서 멤버들은 저고리를 활용한 의상에 노리개 액세서리를 착용했다. 춤을 추는 무대 배경은 산수화를 떠올리게 했고, 이 밖에도 곰방대를 비롯해 전통 부채, 노리개 등 전통 소품이 등장했다.아이브 안유진 역시 "'해야'에서 저희가 한국풍으로 뮤직비디오도 찍고 의상도 준비했다는 게 되게 의미 있다"고 언급했던 바다.하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웨이보 등을 통해 "중국 문화를 당당하게 훔쳤다", "중국의 요소를 남용하고 있다"며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은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수묵화 일러스트나 족자(두루마리)·상서로운 구름·노리개의 매듭·부채 등의 요소가 모두 중국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아이브가 직접 중국 전통 미술 문화를 홍보해줘서 고맙다"며 비아냥거리는가 하면, 뮤직비디오에 참여한 작가의 SNS까지 찾아가 비난을 퍼붓고 있다.한편 뮤직비디오 2D 원화(작화 총괄, 콘셉트 아트,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박지은 작가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작업기를 공개했다. 그는 '해야'의 공식 콘셉트와 관련해 "한국의 아름다움에 해를 사랑한 호랑이를 더한 것"이라고 밝혔다.아울러 "앞으로 도처에서 다채롭게 펼쳐질 2020년대 현대 한국의 아름다움이 보다 더욱 멀리 크고 너르게 나아갈 수 있게 응원해 주시고 함께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연금-노동개혁·기업 지원…尹, 흔들리지 말고 추진해야”
‘최장 공백’ 애플 아이패드의 귀환…괴물칩 ‘M4’ 품었다
실업급여 예산 ‘대수술’…정부, 반복 수급 손본다
야마카와 히로시 “우주 파운드리 시대…도요타·미쓰비시가 선봉”
우주경제 기본은 ‘자급자족’…채소 기르고 웨이퍼 찍는다
실업급여 반복수급에 칼 빼든 정부
반도체가 이끈 증시…코스피, 2% 오르며 2700선 탈환
“9조달러 비용 청구서”…중산층 어깨 짓누르는 친환경 목표
청약 몰리고 거래도 늘고…’몸값’ 높아진 소형 아파트
점포 줄이는 4대銀, PB센터는 늘렸다
투자 않고 증편만…LCC 호실적 ‘모래성’ 되나
달에 묻힌 ‘마법 광물’ 6년 뒤부터 캔다
‘헌법 우회’도 불사…13조 지원금 뿌린다는 민주당
“오마이걸·권은비급 필수”…’연예인 모시기’ 나선 대학들
이스라엘, 라파 진입 …국경 검문소·도로 장악
“한국보다 싸게 샀다고 좋아했는데…” 中 알리에 ‘분노’
[오늘의 arte] 티켓 이벤트 : 비보컬 아카펠라 콘서트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Copyright 1999-2024. 한경닷컴 All rights reserved.

source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