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다파일

문턱 높아진 화장품 안전성평가…국내 기업 위한 알맹이 교육 '절실' – 헬스경향

“한층 강화된 화장품 규제와 이에 따른 국내 정책 방향을 알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 실무세미나로 꼭 이어졌으면 좋겠다.”
K-뷰티의 위기를 직감하고 한걸음에 달려온 ‘제1회 화장품 안전성평가 세미나’ 참석자들의 이구동성이다.
본지는 4월 29일 국내 화장품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제1회 화장품 안전성평가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우리나라 주요수출국으로 꼽히는 중국이 화장품 안전성평가보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등 허가기준을 한층 강화했다. 우리나라도2028년을 목표로 화장품 안전성평가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지만 당장 내년 5월부터 강화된 허가기준이 적용되다 보니 국내 기업들은 매우 막막한 상황이다.
이에 본지는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강연을 통해 화장품 안전성평가제도의 이해를 돕고 국내 제도 도입 필요성을 공유하는 세미나를 마련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20여명이 넘는 화장품기업 실무자들이 참석, 첫 교육의 장에 힘을 실었다.
아울러 본지는 국내 화장품기업의 애로사항을 보다 자세히 파악, 정보전달자인 언론의 역할을 다하고자 별도의 의견서(익명서 보장)를 통해 세미나와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1차 세미나 평가와 관련해서는 화장품산업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며 안전성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들을 수 있어 유익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무엇보다 규제기관(식약처)의 강연을 현장에서 직접 들음으로써 제도에 대한 이해 폭이 넓어졌다고. 다른 세미나에서 들을 수 없었던 중국 화장품 안전성평가에 대한 강연 또한 매우 인상깊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참석자들은 2차 세미나에 대한 기대감도 한목소리로 전했다. 1차 세미나가 화장품 안전성평가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내 도입 필요성을 알리는 자리였다면 2차 세미나에서는 원료 자료 확보 등 안전성평가와 관련한 실무내용이 다뤄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부 정책에 대해서도 아낌없이 의견을 내놨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들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며 화장품의 특성을 고려해 의약품과 다른 별도의 기준을 마련해야 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추출물, 발효물 등 각 원료에 대한 정확한 기준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됐다.
국제 규제와 국내 규제 간 변화의 폭이 커 중소기업들이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많은 참석자가 화장품 정책 변화를 발 빠르게 공유받고 인프라가 충분치 않은 중소기업들을 위한 지원책을 고민해주기를 바랐다.
본지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국내 화장품기업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의 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향후 2차 세미나를 개최, 국내 기업은 물론 일반소비자들이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들을 발 빠르게 전달하며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

source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