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밀 겨냥한 ‘가루쌀’, 가공·제품화 실정은? – 한국농정신문

[한국농정신문 장수지 기자]
 
정부는 ‘과잉 생산’ 되는 쌀의 수급 안정과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가루쌀 산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밀·콩과 함께 가루쌀을 전략작물에 포함시켜 직불금을 지급하는가 하면 생산단지를 조성·지원하고 가공·제품화 사업에도 예산을 늘려 가며 역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수입 밀 대체라는 목표를 가진 가루쌀의 가공 및 제품화는 정부가 설정한 방향과 다소 다르게 흘러가는 모양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가루쌀은 기존 쌀과 달리 물에 불리지 않고 밀처럼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다. 가루쌀은 ‘건조 제분’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습식 제분해 가루로 만드는 기존 쌀 가공과 달리 제분 과정이 단순해 비용이 덜 드는 장점이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수입 밀 시장을 겨냥해 2027년까지 수입 밀 수요의 10%를 가루쌀 20만톤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가루쌀 제품화를 위해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패키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원 대상도 식품업체뿐만 아니라 외식업체로 확대했고, 지난해 40억원이던 예산은 올해 51억원으로 늘렸다. 이에 품목당 2억원이던 지원액은 업체당 최대 3억원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산적한 과제는 여전하다. 수입 밀 원료 단가는 kg당 500원인데 반해 식품·외식 등 가공 업체가 제공받는 가루쌀 원료곡 단가는 kg당 1000원이다. 이마저도 농식품부가 1540원이던 원료곡을 업체에 할인해 지급하는 결과다. 할인 지원 없이 원료곡에서부터 가격 격차가 세 배 넘게 벌어지는 만큼, 정부의 목표대로 가루쌀이 수입 밀 시장의 10%를 차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우리 밀의 시장 확대에 단가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과 같은 이유다.
뿐만 아니라 수입 밀 대체라는 정부 목표와 달리 가루쌀 제품은 기존 쌀 가공 제품과 시장에서 혼재되고 있는 상황이다. 수출 등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기존 쌀 가공 제품인 빵과 면, 제과류와 가루쌀 가공 제품을 구분 지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기존 쌀 가공 시장을 가루쌀에 내어 주게 되면 기존 쌀 가공 시장이 축소될 수밖에 없고, 이는 정부가 목표로 한 쌀 수급과 식량자급률 제고 중 어느 것도 만족시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source

admin

osexykorea.com

모든 파트너 기타 문의 http://문의다모아.com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