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 글로벌 예술섬 설계공모, 토마스 헤더윅 당선 – C3KOREA

한강 최중심에 위치한 노들섬이 영국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의 손을 거쳐, 문화와 에너지를 품은 미래 서울의 새 얼굴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29일, ‘노들 글로벌 예술섬 국제지명 설계공모’의 당선작으로 토마스 헤더윅의 ‘소리풍경’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강대교 한가운데 자리한 노들섬은 탁 트인 한강 뷰와 랜드마크 빌딩으로 가득한 도심 뷰를 함께 조망할 수 있는, 도심 속에서 자연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기엔 더할 나위 없는 명당이다. 서울시는 2005년 사유지였던 노들섬을 매입하고, 이곳을 예술섬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었으나 번번이 무산됐고, 2012년부터는 도시 농업을 위한 텃밭으로 임시 활용되어 왔다. 2019년에서야 ‘음악을 매개로 한 복합문화기지’라는 슬로건 하에 ‘노들꿈섬’이라는 이름으로 재개장했지만, 슬로건과는 사뭇 거리가 먼 메마른 분위기의 디자인 탓에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은 채로 지금에 이르렀다.
노들섬의 방향타가 다시 예술섬을 향한 건 지난해. 서울시가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이를 적용할 공공분야의 첫 사업으로 ‘노들 글로벌 예술섬’ 프로젝트를 선정하면서부터다. 핵심은 노들섬에 창의적인 디자인과 콘텐츠를 입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서울의 새 랜드마크로 재탄생케 하자는 것.
‘건설’보다 ‘디자인’에 무게를 둔 이 같은 정책 의도와 취지를 살리기 위해 시는 앞서 국내외 7팀(강예린서울대학교+SoA, 김찬중더시스템랩, 나은중+유소래네임리스 건축사사무소, 신승수디자인그룹오즈, 비야케 잉겔스BIG, 토마스 헤더윅Heatherwick Studio, 위르겐 마이어J. Mayer H. und Partner)의 건축가를 대상으로 ‘기획 디자인 공모’를 시행했으며, 작년 4월 이들이 제안한 노들섬의 7가지 미래상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사업계획 수립에 착수, 구체화된 기준을 바탕으로 올 2월 국제지명 설계공모를 개최했다.
새롭게 탄생할 노들섬은 상단부(공중부, 지상부)와 하단부(기단부, 수변부) 구성되는데, 이번 공모에서는 각각의 구역별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주어졌다.
‘공중부’에서는 노들섬을 새로운 아이콘으로 만들 방법, ‘지상부’에서는 일상 속에서 시민이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만들 방법, ‘기단부’에서는 지상부와 수변부를 오가며 다양한 경험을 가능케 할 방법, 마지막으로 ‘수변부’에서는 물과 섬이 만나는 경계부의 창의적 활용 방법이다.
서울의 새 랜드마크를 목표로 7팀이 제시한 7가지 청사진은 28일 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공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됐다. 심사위원장 톰 메인모포시스과 6인의 심사진(벤 반 베르켈UN Studio, 네덜란드, 최문규연세대학교, 정현태뉴욕공과대학교, 이정훈조호건축, 조용준주.CA조경기술사사무소, 김용화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영화감독)을 비롯해 시민과 전문가들 400여 명이 현장에 참석했고, 유튜브 채널 생중계를 통해 600여 명이 심사를 지켜봤다. 각 팀의 발표가 끝난 뒤 진행한 질의응답 시간에는 영감의 원천, 경제성, 현실성, 지속가능성 등 디자인 콘셉트부터 실현 가능성까지를 아우르는, 폭넓은 질문이 이어졌다. 공개 PT 이후에는 곧이어 심사위원단의 심화 심사가 이뤄졌으며, 약 3시간의 투표와 토론을 거쳐 토마스 헤더윅의 작품 ‘소리풍경’이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소리풍경’은 자연의 소리와 라이브 음악에서 생성된 패턴에서 착안한 ‘스카이워크 캐노피’로 각기 다른 높이의 드라마틱한 공간을 연출하여, 궁극적으로는 노들섬을 서울의 문화와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장소로 재창조한다는 개념이다.
당선작은 노들섬이 가진 본질적인 장소성을 살려 기존 건축물을 최대한 존치해 주변부를 계획하고, 스테인레스 커브 메탈의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곡선으로 환상적 풍경을 연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핀포인트로 기둥을 만드는 것이므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 건설이 가능해 최소한의 간섭으로 공사가 가능하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혔다.
심사위원장 톰 메인은 “경계부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도시의 아이콘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건축과 조경의 관계 등을 고민해야 했다”며 “글로벌 차원에서도 단순히 공모 자체만 볼 것이 아니라 더 큰 틀의 시각에서 노들섬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어떠한 메시지를 줬는지를 중점적으로 심사했다”고 평가 소감을 전했다.
시는 당선자와 올해 7월에 설계 계약을 체결하고 기본·실시 설계를 진행한 뒤, 내년 2월에 공사를 시작해 수변부 팝업월, 수상예술무대, 생태정원 등은 2025년까지 조성, 공중부, 지상부 보행로, 라이프가든 등은 2027년까지 완료를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당선작
소리풍경 _ 토마스 헤더윅Heatherwick Studio

노들섬을 서울의 문화와 에너지를 대변하는 장소로 재창조한다. 예술적인 개입부터 즉흥적인 공연 공간까지, 각기 다른 높이의 드라마틱한 공간들에서 각양각색의 문화 활동이 펼쳐지는, 새로운 컬쳐 네트워크이자 창의적 문화 생태계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자연의 소리와 라이브 음악의 패턴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스카이워크 캐노피를 제안한다. 한국의 아름다운 산악 지형을 연상시키는 캐노피는 노들섬의 시적인 존재감은 유지하면서 유지관리와 비용 측면의 효율성을 고려해 개발되었으며, 캐노피에 형성된 공중 산책로는 수변공간과 지상레벨에 조성된 다양한 레이어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지상까지 조화롭게 연결된다. 방문객은 한강의 수위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 또한 몸소 체험할 수 있다. 기단을 따라 지상 레벨에 계획된 다양한 링크를 통해 섬 곳곳을 탐험하고, 세심하게 계획된 시설과 프로그램들은 노들섬을 서울 예술의 중심지로 변모시킬 것이다.

참가작
구름 _ 위르겐 마이어J.Mayer H. und Partner
노들섬은 자연과 문화를 융합하고 도시의 혁신적 정신을 표현하는 자유로운 형태의 ‘구름’과 함께, 서울을 넘어 세계의 아이콘으로 거듭난다. 유동적이고 연속적인 전체 디자인은 구름의 구조와 조화롭게 연계되며, 특히 문화센터 지붕 위에서는 산책로와 만나, 공연 또는 야외 전시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 공간을 형성한다. 이 외에도 떠다니는 플랫폼은 땅과 물 사이의 경계를 확장하고, 편평한 경사로는 옹벽의 삭막한 단절을 유화시키며, 구불구불한 길은 나무 꼭대기를 돌아 유기적인 구조물인 구름과 어우러진다. 이렇게 자연과 얽혀 있는 다양한 유형의 공간에서 인간과 동식물은 서로 공존하고, 나아가 생물 다양성과 미세 기후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참가작
The Ripples _ 비양케 잉겔스BIG
서울에 중심에 위치하면서 맹꽁이의 생태 서식지이기도 한 노들섬이 명소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단절성’에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섬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구조물을 활용한 ‘섬의 통합’, 다용도의 캐노피 구조물을 활용한 ‘공간 활성화’, 고립된 부분들을 조화롭게 연결해 주는 길을 통한 ‘발견의 경험 증진’을 제안한다.
이렇게 재탄생한 노들섬은 고요한 자연 휴양지부터 분주한 문화 이벤트까지 다양한 경험들을 촘촘하게 제공하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살아 숨 쉬는 생명체로서 존재할 것이다.

참가작
Sharing Nodeul _ 김찬중더시스템랩 건축사사무소
노들섬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미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완만한 마운드’를 활용한 입체적인 공간 확장을 제안한다. 마운드를 통해 노들섬은 내측 공간(기존 건물 및 플라자)과 외측 공간(입체적인 공원)으로 이원화된다. 마운드는 내측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쉘터 역할을 수행하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문화 활동 및 리테일 시설 이용에 최적화된 공간을 제공한다. 외측 공간은 자연스러운 들판 형태의 입체적 조경을 통해 이용 가능한 공간을 확장하고, 다양한 변주의 한강 조망점을 제공한다. 마운드는 섬 전체의 밀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자 간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참가작
프롬나드 링Promenade Ring _ 강예린서울대학교 + SoA
‘노들 프롬나드 링’은 동과 서가 나뉘어 있고 아래와 위가 나누어져 조각난 섬의 조건을 극복하는 순환의 고리다. 기존 시설과 자연의 훼손을 최소화하되 서로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문화와 자연이 더 긴밀하게 연계되는 공간, 섬 곳곳의 모든 장소들이 소외되지 않고 시민의 휴식 공간으로 제공되는 도시공원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동서 양안을 강하게 묶는 통합 보행체계, 인공화된 섬의 재자연화, 걷고 머무르고 소요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배치, 지상부와 기단부 연결 등의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360도 모든 방향으로 강과 만나는 섬의 장점을 강화하고, 원경과 근경, 시각과 촉각이 복합된 생태적 도심 공원을 완성한다.

참가작
숨 _ 나은중 + 유소래네임리스 건축사사무소
살아 숨 쉬는 한강 위 플랫폼으로서 노들섬의 가능성 찾기 위해, 그리드체계의 ‘퓨처인프라’, 그물망 지형인 ‘지오웹’, 그리고 숨 쉬는 ‘생태섬’ 으로의 전략을 제안한다.
퓨처 인프라는 노들섬과 미래도시 서울을 상징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유동하는 그리드 구조를 통해 랜드마크를 형성한다.
그물망 형태의 공중 보행로는 언덕과 같은 입체적인 지형으로 기존에 도로로 인해 분절된 노들섬을 연결하여 하나의 섬으로 인지하고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물망 곳곳에 놓인 징검돌에는 자연의 요소와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이 삽입되어 문화, 예술섬으로서의 상징성을 갖는다.
섬 전체를 하나의 통합적 생태계로 만들기 위해 지형과 수환경이 자연스럽게 연속되도록 재구성하고 자연의 순환 체계를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장소를 만든다.
노들섬은 서울의 과거-현재-미래를 이어주는 도시의 허파와 같은 장소가 될 것이다.

참가작
하나의 무대The One Stage_디자인그룹오즈 건축사사무소
노들섬의 역사를 관통하는 세 개의 키워드는 생태, 음악, 시민참여다. 이 세 키워드를 엮어서 ‘시민이 만들어가는 정원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무대’를 만든다. 1km의 스카이루프와 생태루프를 엮어 만든 이 무대는 마치 수많은 브릿지를 모아 만든 커다란 둥지의 모습을 닮았다.
그늘을 만들고 비바람을 막는 동시에 빗물을 모아서 다양한 식물을 길러내는 생태루프는 스카이루프 안쪽에 미기후를 만들어 새와 나무, 사람을 모으고 연결한다. 18개의 수직이동 코어로 지지되는 해발 30~40m 높이의 스카이루프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장으로 기능하는 옥외 공간을 마련하고, 기존 건물 옥상에는 소셜 가드닝 플랫폼을 만들어, 이곳을 중심으로 스카이루프, 기존 건물, 그리고 중앙 광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지가니 라이트 하우스 에디터 전효진 차장  글 김소원  편집 한정민  자료제공 어 스레숄드 삼면이 이웃 건물에 둘러싸인 좁은 땅의 제약을 해결하라….
도심 성곽 마을 속 동네 에디터 전효진 차장  글 김소원  편집 한정민  자료제공 TAO 첨단 기술의 도시로 대표되는 중국의 선전에는 300년대에…
슬로우 벗 베럴 에디터 전효진 차장  글 황혜정  편집 조희정  자료제공 더숲 흩어져 있는 삼각구조물들이 공간을 주도하며 눈길을 끈다. 비어 있는…
제대로랩 편집부 지음 / 166쪽 / 16,000원 / 제대로랩 경기도 포천에 있는 소담재는 45평 남짓한 일자형 주택이다. 창고와 비닐하우스가 있던…
증평군이 노후한 기존 문화회관을 대신해 복합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한다. 해당 사업은 2022년 3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으나 투자심사에서 반려되면서 추진에 제동이…
비슈누바든 복합 기념관 에디터 전효진 차장  글 김소원  편집 한정민  자료제공 M9 디자인 스튜디오  마이수르 외곽의 고요한 시골 한가운데에 자리한 링…
© 아크반 | 대표_이우재 |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2길 18 | T. 02-2661-1513 | E. info@archban.com | 사업자등록번호_475-39-00989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4-서울강서-0034 | 개인정보관리책임자_현유미










© 아크반 | 대표_이우재 |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2길 18 | T. 02-2661-1513 | E. info@archban.com | 사업자등록번호_475-39-00989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4-서울강서-0034 | 개인정보관리책임자_현유미

source

admin

osexykorea.com

모든 파트너 기타 문의 http://문의다모아.com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